2025학년도 경영대학 JOB학다식 (진로 콘서트) 개최
- bizskk
- 조회수852
- 2025-05-13
2025학년도 1학기 <JOB학다식(진로 콘서트)>가 지난 4월 30일 (수), 5월 1일 (목) 양일에 걸쳐 경영관 지하 1층 계단강의실에서 진행되었다. <JOB학다식 (진로 콘서트)>는 경영대학 학부생과 졸업생 간의 네트워킹 강화 및 진로 방향성 탐색을 위한 행사로, 강연자(분야 및 업무) 소개, 취업 팁 공유, 토크 쇼, 상품 추첨, Q&A 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제25대 경영대학 학생회 비행운의 기획으로 진행된 이 날 행사에는 약 90명의 학생들이 참여했으며, 연사로는 졸업생뿐만 아니라, 교수들도 참석하여 토크쇼 형식의 강연회를 진행했다.
4월 30일 수요일에 진행된 1일 차 행사의 1부는 현업에서 활동 중이신 외부 전문가를 초청하여 학생들이 실무적 관점에서 경영학의 다양한 진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원재(BNP Paribas, 본부장), 이민규(Blend.X, 대표이사) 외부 초청 연사의 강연이 진행되었다. 2부에는 경영학과 최아름 교수(회계 전공), 박태윤 교수(인사 전공), 김용석 교수(경영정보 전공)가 참석하여 경영학 내 세부 분야별 커리어에 대한 실질적 조언과 방향성에 대해 질문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5월 1일 목요일에 진행된 2일 차 행사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인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졸업생 5인을 초청하여, 전공과 실제 직무 간 연계, 진로 선택 과정, 사회초년생으로서의 경험 등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심수현(경영16, 언론, 한국경제TV 아나운서), 최명훈(경영16, 재무, GS건설 재무 본부), 이진석(경영15, 인사, 삼성서울병원 인재운영파트), 김산유(경영18, IT 서비스 기획, 현대자동차 온라인 서비스 기획), 김기용(경영16, 노무, 포스코 노무협력실) 총 5명의 졸업 선배들이 멘토로 함께하였다.
멘티로 참석한 배유민(경영24) 학우는 “1일 차에는 외부 강연자들의 진솔한 강연을 통해 해당 직무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었고, 그동안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을 깨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교수님들과의 실시간 Q&A 시간을 통해 어렵게 느껴졌던 교수님들과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일 수 있었으며, 평소 궁금했던 학문적인 질문들에 대해서도 직접 답변을 들으며 해소할 수 있었다. 2일 차에는 현장에서 근무 중인 선배들의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취업 준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조언들을 들을 수 있었다. 기업과 직무의 장단점에 대해 현실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앞으로의 취업 준비 방향에 대해 스스로 고민해보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라는 소감을 전했다.
또한, 김민성(경영24) 학우는 “진로 콘서트에 참석하여 교수님들과 선배님들의 소중한 경험들을 잘 들을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다. 조언해주신 말씀들을 바탕으로 저도 더 나은 경영학도가 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라고 했다.
이번 행사를 준비한 학사정책국장 김성준(경영21) 학우는 “이번 진로콘서트는 경영대학 학우분들이 다양한 진로를 직접 체감하고, 현업에서 활동 중인 연사님들과 선배님들, 그리고 교수님들의 경험을 통해 진로에 대한 방향성을 구체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했다. 1일차에는 초청 연사와 교수님들의 강연을 통해 진로의 폭을 넓힐 수 있었고, 2일차에는 졸업 선배들의 현실적인 취업 준비 경험을 들으며 많은 학우분들이 공감하고 위로받을 수 있었다. 참여해주신 모든 강연자님들과 경영대학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하다”는 운영 소감을 나누었다.
본 행사의 연장선으로, 5월 12일(월)부터 5월 30일(금)까지 진로콘서트에 참석한 선배를 포함한 졸업생 및 재학생 간의 Job학다식 본 행사 진로멘토링이 진행되고 있다. 진로멘토링은 지난 5월 2일(금)부터 5월 8일(금)까지 개인 또는 팀 단위 참여 신청을 받았다. 이후 졸업 선배와 재학생 팀 매칭이 이루어졌고, 행사 기간 동안 오프라인 만남 진행 후 활동보고서 제출의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편, JOB학다식(진로 콘서트)는 선후배 네트워크를 교외로 확대하여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브랜드’를 강화하며 학과 로열티 제고 및 추후 멘토링 인적 네트워크 pool 확대를 기대하기 위해 매 학기 진행되고 있다.